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3

[박태웅의 AI강의] AI는 미디어다. AI가 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1장. 놀라움과 두려움 사이에서 등장하다. 쳇GPT 탄생 2장. 우리는 왜 쳇GPT에 열광하게 되었나? 느닷없이 나타나는 능력… 인공 일반지능 AGI 작가는 최근 핫이슈인 쳇GPT로 시작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로 이끕니다. 쳇GPT를 아주 쉽게 설명하고 있기에 저는 어렵지 않게 책에 몰입할 수 있었습니다. 거대언어모델에서 나타난 ‘느닷없는 능력’ 과 쳇GPT의 한계점도 지적합니다. 3장. 열려버린 판도라의 상자.. AI의 확산, 그리고 필연적으로 도래할 충격들 4장. 몸에 대한 실험, 마음에 대한 실험… 미디어는 메시지다. 이제 본격적인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 입니다. 현재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SNS. 그 알고리즘이 어떻게 우리 심리나 언론기사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2023. 10. 6.
유영만교수 <인공지능을 능가하는 인간지성> 지식과 지혜는 다르다 인공지능이 따라할 수 없는 4가지 인간 지성 상대의 마음을 못 읽는 것이 문맹이다 창조할 수 있는 인간과 그렇지 못하는 인공지능 인간지능을 계속 발전시키려면. 4차 기술혁명에 대한 일반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언론기사, 강연, 교양 서적이 연일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AI와 로봇, 생명공학이 미래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것인가’ 우리는 매일 이런 제목의 수많은 영상과 읽을거리를 쫓아가기 바쁩니다. 모든 영상과 서적에서 전하는 메시지는 결국 동일합니다. “우리는 ‘인공지능’ ‘로봇’과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입니다.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우리 인간이 잘 할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라” 고 하면서 ‘인간의 고유특성은 무언인가?’ 라는 질문.. 2023. 9. 28.
챗GPT와 어떻게 관계를 쌓아가야 할까? 쳇GPT가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는 직업(Prompt Engineer) 이 생길것. 우리는 이제 쳇GPT가 잘 대답하도록 제대로 질문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이경전 교수님 이 강연의 결론은 “우리가 할 일은 쳇GPT를 이용하고 협력 하는 능력을 기르자” 였다. 이경전 교수님은 주장합니다. “창의적인 질문을 던지자!” “이제, 비즈니스영역과 AI사이에서 우리가 통역을 담당할 기회가 생겼다” 조만간 우리는 AI를 비서로, 협업하는 동료로 여기게 될 것이다. 물론, 우리가 AI를 잘 가르쳐야 한다. 그러기에 우리가 경험과 지식이 있어야… 그리고, 쳇GPT를 알아야 한다. “기술 혁명기에 필요한 건… 바로 상상력과 실행력이다” 쳇GPT는 마치 인간처럼 그럴듯하게 말을 하고 대답한다. 광고 분야는 이.. 2023. 6. 27.